패키징 및 테스트 공정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스크래치 검사 입니다. 제품의 스크래치가 선명하게 보이는 경우 쉽게 검출 할 수 있는데요. 문제는 스크래치가 제품 고유의 무늬와 혼동이 생기는 경우 검출이 쉽지 않습니다.
아래와 같은 제품을 보면 수평 방향으로 제품 고유의 결이 있는데요. 자세히 보시면 4시 방향으로 미세하게 스크래치가 나 있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
광학계 조명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스크래치의 위치에 따라 그 부분이 더 밝거나 어두워져서 검출을 더 어렵게 합니다. 제품이 회전할 수 있다면 조건이 더 다양해 집니다.
룰기반의 비전을 사용하면 모든 조건을 안정적으로 커버하기 어렵기 때문에 AI 기반의 검출 방식이 더 적합한데요. 양품과 불량 이미지를 수집하여 AI 모델을 트레이닝 시켜 대상 제품에 최적화 합니다.
Accuracy 95%, Recall 98%, Precision, 90%, F1-Score 95% 수준의 결과가 나오는 수준입니다. 현재 셋팅은 과검을 해서라도 모든 불량을 잡기 위해 High recall - Low precision 이 되도록 한 상황입니다. 미검이 수용 가능 한 경우에는 High precision - Low recall 셋팅으로 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.
아래는 다양한 샘플에 대한 검출 결과 입니다.